개요
- 최근 사이버 위협이 지능화 및 정교화 됨에 따라 보안 취약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
- 보안 취약점 통계·분석 사이트인 ‘CVE Details’에 따르면 처음 CVE1) 취약점을 집계한 1999년 이래 2018년에 가장 많은 취약점(16,555개)이 발생하였으며, 전년도(2017년) 대비 약 12.5%(1,841개)의 취약점이 증가하였습니다. 또한 CVSS2) 점수 7.0 이상의 고위험군 취약점이 4,030개로, 발생한 전체 취약점 중 24%를 차지하였으며, 고위험군 취약점은 기업에 치명적인 손실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으므로, 주기적인 취약점 식별 및 조치, 관리가 필요합니다.
※ 출처 : "Browse cve vulnerabilities by date", www.cvedetails.com
※ 출처 : "CVSS Score Distribution Reports and Trends Over Time", www.cvedetails.com
-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㈜한국아이티평가원에서는 CVE 취약점 진단 도구를 이용하여 고객사의 중요 자산을 대상으로 취약점 분석을 수행하고, 도출된 취약점의 분석을 통해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보안 침해사고 예방 및 안전성을 확보합니다.
진단 대상
- 취약점 진단 도구를 이용하여 운영체제(OS), 네트워크 장비, 웹(Web) 서버 등 네트워크 상의 IP 기반 장비를 대상으로 진단을 수행합니다.
진단 대상 | |
운영체제(OS) | 데이터베이스(DB) 서버 |
웹(Web) 서버 |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(WAS) |
네트워크 장비 | 가상화 솔루션 |
진단절차
- 진단 절차는 사전협의를 시작으로 정보수집, 취약점 도출, 시나리오 도출, 대응방안 수립, 결과 도출 순으로 진행합니다.

1) CVE(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) : 공개적으로 알려진 보안 취약점에 대한 공통 식별자 목록으로, 표준화된 CVE 항목은 서비스 적용 범위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함
2) CVSS(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) : IT 취약점 평가를 위한 개방적이고 표준화 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취약점 채점 시스템임